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2)
🪐 검색 우주의 정렬 — 다음, Bing, 줌 웹마스터 등록 총정리 WhoDonomics · 2025.07.30(주제: SEO, 천문학 메타포)천문학자들은 별을 그냥 바라보지 않는다.좌표를 정렬하고, 망원경을 교정하며, 데이터를 받기 위한 센서를 동기화한다.검색 최적화도 같다.내 블로그라는 ‘관측 장비’를 다음, Bing, 줌이라는 ‘우주 관측 네트워크’에 등록해야내가 발견한 콘텐츠별이 검색 우주에 빛을 낼 수 있다.🛰 1. 다음 웹마스터 도구 등록“지구 밖에 망원경을 올렸다면, 이제 궤도에 태워야 할 차례.” 1. 다음 검색 등록 페이지 접속 2. 블로그의 개인 도메인 주소 입력 (예: https://whodonomics.com) 3. 사이트명, 소개글, 이메일 등 입력 4. [확인] 클릭 → 등록 완료 문구 확인 • 네이버보다 훨씬 간단하며, 메타태그 인증도 필요 ..
🛰 시간 기록의 기술 — 우주 망원경과 블로그 타임스탬프 허블 망원경은 1990년 지구 궤도에 올랐고,제임스웹 망원경은 2021년 우주의 깊이를 탐색하기 시작했다.두 망원경은 단순한 ‘카메라’가 아니다.우주는 ‘빛의 시간차’로 관측되기 때문에,이들은 시간을 수집하는 ‘기록 장치’다.과거의 별빛을 수년, 수십억 년 늦게 관측하며천문학자들은 시간의 퍼즐을 맞춰왔다.이처럼, 시간을 어떻게 저장하느냐는관찰의 정확성과 인식의 깊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블로그도 마찬가지다.⌛ 타임스탬프가 중요해지는 순간블로그 글 하나에도 타임스탬프(time stamp)가 찍힌다.그건 단순한 발행 날짜가 아니라,검색엔진과 독자가 해당 글을 언제,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좌우하는 좌표다. • 예약 발행을 했는가? • 실시간으로 올렸는가? • 글 수정 날짜가 지나치게 오래됐는가?이 모든 요소는..
🌌 크롤링이란, 검색엔진의 천체관측 — 사이트맵과 로봇.txt로 블로그를 우주로 보내기 블로그는 밤하늘과 비슷하다.별이 수없이 떠 있어도,망원경이 그 좌표를 읽지 못하면그 존재는 잊혀진다.검색엔진도 마찬가지다.크롤링이란 건,망원경처럼 인터넷 세계를 관측하는 ‘로봇’의 눈이다.내 블로그 글이 우주에 떠 있는 별처럼 빛나길 원한다면,먼저 ‘관측 가능한 좌표’를 설정해야 한다.그게 바로 사이트맵과 로봇.txt 설정이다.🛰 사이트맵이란?사이트맵은 내 블로그 글들의 전체 지도를 만드는 일이다.“어디에 어떤 글이 있는지 알려줄게”라는 선언문 같은 것.구글 등록 방법 1. 구글 서치 콘솔 접속 → ‘사이트맵’ 클릭 2. 도메인 뒤에 /sitemap.xml 입력 3. ‘제출’ → 성공 메시지 확인네이버 등록 방법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 2. 사이트 등록 후 ‘요청’ → 사이트맵 제출 3. 동..
별을 보려면 먼저 좌표를 등록해야 한다 — DNS와 천문학, 그리고 서치 콘솔 요즘은 망원경 없이도 별을 볼 수 있어요.NASA, 알마관측소, 한국천문연구원 같은 사이트에 접속하면실시간 우주 데이터와 사진이 펼쳐지죠.하지만 우리는 도메인 주소만 입력했을 뿐인데,어떻게 그렇게 정확한 정보에 연결될 수 있었을까요?바로 DNS(Domain Name System) 덕분이에요.DNS는 우리가 입력한 almaobservatory.org 같은 도메인 이름을숫자로 된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이에요.하늘의 좌표처럼, 웹사이트의 위치도 DNS가 찾아주는 거죠. 🛰️ 내 블로그도 ‘우주 지도’에 표시되려면티스토리 블로그도 마찬가지예요.도메인을 구입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구글에 검색되진 않아요.먼저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해"이 블로그는 내 거예요!"라고 알려줘야 해요.이 과정을 도메인 소유권 인증이..
🛰️ 천문학과 DNS, 전혀 다른 두 세계의 연결고리? DNS는 인터넷 이야기고, 천문학은 밤하늘 이야기 아닌가요?저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어요.하지만 알고 보니, 별을 향한 데이터의 길목에도 DNS가 있더라고요.📡 관측소의 주소도 ‘도메인’으로 시작해요우리가 별 사진을 보기 위해 NASA나 한국천문연구원 사이트를 찾을 때,nasa.gov, kasi.re.kr 같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죠.바로 이 도메인이 DNS의 작품이에요.DNS는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주소를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이에요.마치 우주 관측 장비들끼리 서로를 부를 수 있게 만드는 디지털 천문 관제탑이죠.🌍 전 세계 망원경, 실시간으로 연결되다천문학은 이제 한 국가나 기관의 연구로 끝나지 않아요.칠레, 하와이, 남극, 한국의 망원경들이 DNS 기반 서버 주소..
🔭 CCTV와 천문학, 생각보다 가까운 사이? 천문학자는 별을 관측하고, CCTV는 사람을 관찰합니다.둘 다 “보는 사람”이죠. 그것도 아주 오래, 아주 꾸준히.이 둘은 완전히 다른 분야 같지만, 의외로 핵심 원리가 닮아 있습니다.바로 지속적인 관찰과 기록, 그리고 데이터 분석.예를 들어 CCTV는 건물 앞을 24시간 감시하면서 누가 드나드는지 기록합니다.천문학자는 밤하늘을 24시간 지켜보며 별의 밝기나 움직임을 추적하죠.다른 점은 관찰 대상이 다를 뿐, 구조는 놀랍도록 비슷합니다.🔧 기술적으로도 접점이 있어요 1. CCD 센서CCTV도, 천문학 망원경도 CCD(Charge-Coupled Device) 를 사용해요.빛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이 센서는, CCTV에서는 영상 저장에, 천문학에서는 별빛 감지에 쓰입니다. 2. AI 영상 분석요즘 CCTV는..
천문학자들은 별만 보는 걸까? — 천문학자의 현실적인 하루 🌌 천문학자들은 별만 보는 걸까?천문학자라고 하면, 밤마다 망원경을 들여다보며 별을 관측하는 모습을 떠올린다.하지만 현실은 다르다.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낮에 일하고, 망원경은 자동으로 돌아간다.요즘은 우주망원경이나 외부 관측소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식이 보통이다.그래서 천문학자의 하루는 밤하늘보다 모니터를 더 오래 들여다본다.Python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논문을 작성하는 일이 반복된다.회의, 이메일, 코드 디버깅, 자료 수집, 통계 검토…마치 연구소 사무직처럼 보일 수도 있다.하지만 그 안에 우주가 있다.한 줄의 그래프가 수천만 광년 너머에서 온 메시지이기도 하다.그들은 직접 별을 만지지 않지만,별을 둘러싼 중력, 온도, 속도, 밀도 같은 물리값을 통해 그 별의 ..
🌌 진동 세척기 속 작은 우주 — 유리접시가 깨진 날 나는 멀쩡했던 유리접시 하나를 초음파 세척기에 넣었다가 산산조각으로 만들었다.처음엔 그냥 ‘운이 나빴네’ 하고 넘기려다가, 오늘 그 순간이 자꾸 떠올랐다.“왜 갑자기 깨졌을까?”천문학을 좋아하는 나는, 그 파편을 보며 우주를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초음파 세척기는 고주파 진동을 물에 전달해서 미세한 기포를 만든다.이 기포가 터지면서 높은 압력과 열이 생기고, 그것들이 쌓여 찌든 때를 분해한다.그런데 문제는 유리도 결국엔 진동을 받는 물체라는 것.특히 유리 고유의 진동수와 맞아떨어졌다면, 파열은 시간문제였다.공명. 그건 우주에서도 자주 나오는 개념이다.☄️ 유리 파편 속의 초신성별은 마지막 순간, 중심부가 붕괴되며 엄청난 폭발을 일으킨다.그걸 초신성(supernova)이라고 부른다.작은 유리 접시 하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