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HWP) 글꼴 깨짐과 출력 오류, 이렇게 해결한다

한글(HWP) 문서를 열다 보면 글자가 네모박스로 보이거나, 프린트했을 때 전혀 다른 글꼴로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공문서나 이력서처럼 서식이 중요한 문서는 이런 오류가 치명적이다. 문제의 원인은 단순하다. 작성자가 사용한 글꼴이 내 컴퓨터에 없거나, 프린터 드라이버와 호환되지 않는 것이다. 다행히 해결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1. 글꼴 포함 저장하기


한글 프로그램에는 문서 저장 시 글꼴을 함께 포함하는 옵션이 있다. 이 기능을 켜면 상대방 PC에 해당 글꼴이 없어도 동일하게 표시된다. 다만 파일 용량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공문서처럼 글자 형태가 중요한 문서라면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

2. 표준 글꼴로 변경


상대방이 글꼴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아예 기본 제공 글꼴(바탕체, 돋움체 등)로 바꾸는 것도 방법이다. 이 방식은 호환성이 높아 프린트 시에도 깨질 확률이 적다. 다만 디자인적 개성이 줄어드는 것이 단점이다.

3. PDF 변환 후 전달


가장 확실한 방법은 PDF로 변환해 주는 것이다. PDF는 글꼴을 이미지처럼 고정하기 때문에 깨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 제출용 문서는 반드시 PDF를 권장한다. 온라인 변환 사이트나 한컴독스를 활용하면 설치 없이도 쉽게 변환할 수 있다.

4. 프린터 드라이버 업데이트


출력 시 글자가 사라지거나 흑백으로만 나오는 경우는 프린터 드라이버 문제일 수 있다.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상당수 문제가 해결된다. 특히 네트워크 프린터는 드라이버 호환성이 중요하다.

5. 글꼴 설치 확인


문서 작성자가 특정 상용 글꼴을 사용했다면, 동일한 글꼴을 설치해야 한다. 무료 배포 글꼴은 저작권 문제가 없으니 설치해서 쓰면 되고, 유료 글꼴은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한다. 기업 환경에서는 폰트 저작권 관리가 필수다.

6. 임시 대처법


급하게 출력해야 하는데 글꼴 설치가 어렵다면, 캡처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화면을 이미지로 저장해 출력하면 글자가 깨질 걱정은 없다. 다만 문서 수정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정리

• 확실하게 맞추려면 → PDF 변환
• 서식 유지가 중요하다면 → 글꼴 포함 저장
• 간단히 호환성만 원한다면 → 기본 글꼴 사용

글꼴 깨짐과 출력 오류는 대부분 “없는 글꼴” 문제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저장할 때부터 글꼴 포함 여부를 확인하거나, 최종 제출은 PDF로 변환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Fixing Broken Fonts and Print Errors in HWP Files



Fixing Broken Fonts and Print Errors in HWP Files


When opening an HWP file, text sometimes appears as empty boxes, or when printed, the fonts change completely. This issue is especially critical for resumes or official documents where layout matters. The cause is simple: the font used in the file is not installed on your computer, or the printer driver has compatibility issues. Fortunately, there are clear solutions.

1. Save with Fonts Embedded

Hancom Office allows you to embed fonts when saving. This ensures the file looks the same on other computers, though it increases file size. For official documents, embedding is recommended.

2. Switch to Standard Fonts


Using system-default fonts like Batang or Dotum increases compatibility. This avoids printing errors but reduces design uniqueness.

3. Convert to PDF


The safest method is PDF conversion. Fonts are fixed like images, so there is almost no chance of errors. Use online converters or Hancom Docs for quick results.

4. Update Printer Drivers


If text disappears or only prints in black and white, update your printer driver. Many issues vanish once the latest driver is installed, especially with network printers.

5. Install Missing Fonts


If the author used a commercial font, you need to install it. Free fonts are fine to use, but commercial ones require proper licenses. In corporate settings, font copyright management is essential.

6. Emergency Workaround


If installation is impossible, take a screenshot and print the image. Editing won’t be possible, but at least the characters won’t break.

Summary

• Need reliability → PDF
• Need exact design → Embed fonts
• Need quick fix → Standard fonts

Most font issues arise because the required font is missing. Checking font embedding and converting to PDF when submitting is the most reliable habit.


#HWP #fontissue #printererror #documentfix #PDFconversion #Hancom #brokenfonts #printproblem #fontmanagement #filetroubleshooting


🎧 Sound Bite Corner (Phoneme + Accent Rhythm)


1. error /ˈerər/
• 음소: /ˈe/ (강세, 짧고 강하게)
              + /r/ (혀끝 살짝 말아줌) + /ər/ (약하게 흐르듯)
• 발음팁: 첫 음절 에에 힘을 주고,
                         두 번째 r은 가볍게 연결.
• 훈련문장:
             The document shows an error
              because the font is missing.

2. output /ˈaʊtpʊt/
• 음소: /ˈaʊt/ (강세, 입을 크게 벌려 길게)
                    + /pʊt/ (짧고 단단하게 닫음)
• 발음팁: 아웃 부분을 길게 당기고, 풋은 짧게 끊기.
• 훈련문장:
         The printer output is broken
          due to a font problem.

3. embed /ɪmˈbɛd/
• 음소: /ɪm/ (짧게 코 앞에서)
                  + /ˈbɛd/ (강세, 입 크게 벌려 베 발음 강조)
• 발음팁: 두 번째 음절 벳에 강세,
              b 소리를 세게 터뜨려야 자연스러움.
• 훈련문장:
             You should embed the font
              to avoid broken character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