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2)
🎼 소리를 잃은 별, 음악이 된 우주 우주에는 소리가 없다. 진공 상태에선 공기 분자가 없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하지만 우리는 블랙홀의 ‘소리’를 들었다고 말한다.이건 단순한 은유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 과학이다.🌌 진공에서 음악을 추출하는 기술NASA는 우주 공간에서 발생한 진동을 Sonification(음향화) 기술로 변환한다.이는 빛이나 전자기파처럼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소리’로 바꾸는 방식이다.페르세우스 은하단 중심 블랙홀의 X선 진동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로 바꾸면,묵직하고 깊은 저음이 만들어진다.이 음원은 NASA 공식 채널을 통해 공개되었고“우주는 고요하지만, 그 진동은 노래한다”는 설명과 함께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펄서, 리듬을 품은 별펄서(Pulsar)는 초신성 폭발 후 남은 중성자별이다.초당 수십 회..
우주를 조각하는 손 — 천체 모형과 예술의 만남 WhoDonomics · 2025.08.04손끝으로 우주를 만든다면, 그건 조형 예술가의 손일 것이다.천문학자가 수치를 말할 때, 예술가는 그 크기를 직접 보여준다.과학이 숫자로 말할 때, 예술은 그 숫자를 조형으로 해석한다.🌍 행성의 ‘실제’ 크기를 감각으로태양은 지구보다 109배 크다.토성은 지구보다 95배 무겁다.하지만 우리는 이 차이를 실감하지 못한다.지구의 모형이 탁구공이라면, 태양은 운동장 크기여야 한다.예술가는 이 간극을 조형으로 번역한다.한 대학 전시에서는 태양을 농구공 크기로 만들고, 지구는 쌀알로 표현했다.목성은 고구마, 수성은 깨알 크기로 구성되었다.이 조형물은 단순한 오브제가 아니라, 정보의 번역기다.🛰 NASA와 함께한 조형예술NASA는 과학자뿐 아니라 예술가와도 협업한다.예를..
🎨 별빛을 그리는 화가들 — 천문학이 만든 색의 언어 WhoDonomics · 2025.08.04별빛은 단순한 흰색이 아니다.망원경으로 보면, 어떤 별은 파랗고 어떤 별은 붉다.이 색은 예술가에게는 감정이고, 천문학자에게는 데이터다.🌈 고흐의 밤, 스펙트럼을 품다‘별이 빛나는 밤(The Starry Night)’ 속 별빛은 노랗고, 하늘은 푸르다.고흐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색으로 풀었다.그런데 그가 그린 색은 실제 별의 온도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파란 별은 고온(2만K 이상), 붉은 별은 저온(3000K 이하)을 의미한다.천문학자들은 이 색의 차이를 **분광학(Spectroscopy)**으로 측정한다.고흐가 무의식적으로 캔버스에 담은 색채는, 사실 별의 물리학과 맞닿아 있다.🔭 레드쉽트는 감정이 아니라 거리멀어지는 은하는 붉게 보인다.이건 ..
🔌 배터리가 꺼지는 순간 — 블랙아웃의 우주적 경고 갑자기 스마트폰이 꺼졌다.충전 잔량 5%였는데,앱 하나 열자마자 화면이 꺼졌다.그 순간 나는 모든 연결에서 단절됐다.배터리 방전은 단순한 기기 종료가 아니다.그건 작은 블랙아웃이다.그리고 이 경험은우주에서 일어나는 **태양 플레어(Solar Flare)**와놀랍도록 닮아 있다.태양은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다.때때로 표면에서 플레어가 폭발하면강력한 전자기파가 방출된다.이 신호는 지구의 위성과 전파망에 영향을 준다.실제로 위성 통신 장애, 전력망 붕괴, GPS 오류 등은태양 플레어로 인한 ‘우주적 블랙아웃’이다.일상도 비슷하다.하루 종일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배터리는 점점 줄고,어느 순간 갑자기 꺼진다.예고 없이.그럼에도 우리는배터리 잔량 10%를무시한 채 계속 사용한다.콘센트가 없다는 이유로그저 ‘버텨보자’고..
🌙 수면의 리듬 — 달이 조수 간만을 부르듯 밤마다 잠들기 어려운 이유는,단순히 피곤하지 않아서가 아니다.우리는 보이지 않는 ‘리듬’ 속에 살고 있다.바로, 달의 인력처럼밖에서 밀려오는 신호들에수면이 흔들리는 것이다.달은 지구의 바다를 끌어당긴다.밀물과 썰물은 달의 중력에 따라 움직이고,이 흐름은 하루 두 번씩 반복된다.이처럼 일정한 주기를 가진 현상을천문학에서는 ‘조석 현상’이라 부른다.사람도 마찬가지다.우리 뇌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을 통해‘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한다.빛, 온도, 소리, 습도 같은 외부 자극은이 리듬에 영향을 미친다.결국 수면은 내 안의 우주와 외부 우주가 조율하는 리듬이다.이 리듬이 깨지면잠들기 어렵고,자주 깨고,깊은 잠이 오지 않는다.그 결과 낮에 피로가 쌓이고,집중력과 감정 조절에도 영향을 준다.그래서 요즘은수면을 기록하..
📡 길을 잃는 별 — 와이파이 끊김과 GPS 오류의 밤 어느 순간, 지도가 멈췄다.내가 가야 할 길이 사라졌고,현재 위치는 바다 위에 떠 있었다.나는 분명 집 앞 카페에 있었는데.갑자기 끊기는 와이파이,먹통이 되는 GPS,반응 없는 네이버 지도.그 순간은 마치‘별이 좌표를 잃는 밤’ 같았다.천문학에서도 좌표는 중요하다.별은 하늘에 가만히 있는 것 같지만,사실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위성을 통해 좌표를 측정하고,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고려해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산해야 한다.그런데 이런 천문학적 계산도전파나 전리층의 영향으로오차가 생기곤 한다.우주에서도 ‘신호 끊김’은매우 실제적인 문제다.우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며끊김 없는 와이파이와정확한 GPS를 당연하게 여긴다.하지만 그 이면에는복잡한 신호 전송과 위성 동기화가 있다.GPS는 지구 궤도를 도는24개 이상의..
📡 ETF 말고 ET한테 묻고 싶다 — 천문학 공식으로 해석하는 주식의 세계아인슈타인의 공식, E = mc²학교에서 한 번쯤은 외워봤을 이 공식은단순한 과학식을 넘어**‘보이지 않는 힘이 어떻게 폭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가’**를 설명하는 열쇠다.그런데 이 공식을 주식시장에 대입하면놀라울 만큼 잘 들어맞는다.🔬 E = mc², 주식으로 번역하기 • E (Energy) = 수익률 • m (Mass) = 투자금 • c (Speed of Light) = 정보 속도 or 실행력즉,수익(E) = 자금(m) × 정보 또는 타이밍(c)의 제곱실제로도 그렇다.같은 100만 원을 투자해도,정보를 더 빨리 받아들이고, 더 빠르게 실행한 사람이압도적인 수익을 얻는다.‘속도’가 두 배가 되면, 수익은 네 배가 되는 구조.🌌 천문학자와 투자자의 공통점천문학자..
🛰 우주의 마이크로파, 우리 집 전자레인지로 내려오다 천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는 ‘우주배경복사(CMB, Cosmic Microwave Background)’다.빅뱅 이후 약 138억 년 전, 우주의 잔열은 지금도 마이크로파 형태로 퍼져 있다.놀랍게도 이 마이크로파는 가정용 전자레인지와 거의 같은 2.45GHz 대역이다.🌌 우주의 조리법, 2분 30초전자레인지는 물 분자를 진동시켜 열을 만든다.이 원리는 단순한 조리가 아닌, 일상의 물리학 실험이다.즉, 우리는 매일 아침 ‘빅뱅의 흔적’과 같은 파동을 이용해 계란을 데우고 있다.내가 선택한 모델은 삼성전자 비스포크 23L 터치식 전자레인지.미니멀한 디자인, 정밀한 오토 센서, 직관적인 조작 방식이 마음에 든다.하지만 이건 단순한 가전제품이 아니다.내 부엌 속에는 이제 우주가 들어왔다.어쩌면 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