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astronomy

(8)
🎨 별빛을 그리는 화가들 — 천문학이 만든 색의 언어 WhoDonomics · 2025.08.04별빛은 단순한 흰색이 아니다.망원경으로 보면, 어떤 별은 파랗고 어떤 별은 붉다.이 색은 예술가에게는 감정이고, 천문학자에게는 데이터다.🌈 고흐의 밤, 스펙트럼을 품다‘별이 빛나는 밤(The Starry Night)’ 속 별빛은 노랗고, 하늘은 푸르다.고흐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색으로 풀었다.그런데 그가 그린 색은 실제 별의 온도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파란 별은 고온(2만K 이상), 붉은 별은 저온(3000K 이하)을 의미한다.천문학자들은 이 색의 차이를 **분광학(Spectroscopy)**으로 측정한다.고흐가 무의식적으로 캔버스에 담은 색채는, 사실 별의 물리학과 맞닿아 있다.🔭 레드쉽트는 감정이 아니라 거리멀어지는 은하는 붉게 보인다.이건 ..
천문학과 음소분석이 공통점이 있어? 🪐 보이지않는질서를읽는힘—천문학과음소분석의공통점천문학과음소분석은서로전혀달라보이지만,둘다‘보이지않는패턴’을읽는과학이다.눈에안보이는현상을작은단서를통해추론하고,정확한도구로관찰한다는점에서놀랍도록닮아있다.🔭 1. 작은차이를통해큰구조를본다천문학자는별빛의미세한움직임으로보이지않는블랙홀을추론하고,음소분석가는소리의미세한차이로발음의구조를파악한다.예를들어,목성이흔들리는이유가위성때문이듯,[b]와[p]는성대의진동유무로구분된다.🧪 2. 정밀도구없이는불가능하다망원경없이는별의구조를볼수없고,스펙트로그램이나발음기호없이는소리의차이를시각화할수없다.망원경은우주를확대하고,음소지도도구는입속을지도처럼보이게한다.👁 3. 기존인식을바꾼다갈릴레오는지구중심설을깨뜨렸고,음소분석은‘발음은그냥외우는것’이라는오해를바꿔준다.둘다보이지않는구조를드러냄으로써생각..
🪐 망원경으로별을보다—갈릴레오에서이태형,그리고벌레까지 (Galileo to Lee Tae-Hyoung… and a Bug’s Eye View of the Cosmos)🔭 하늘을처음확대한사람,갈릴레오1609년,갈릴레오갈릴레이는망원경을들고밤하늘을올려다봤다.그의눈에는달의분화구,목성의위성,금성의위상변화가보였다.이것은당시지구가세상의중심이라믿던사람들에게큰충격이었다.그는과학을‘보이는것으로입증하는시대’로이끈선구자였다.망원경은눈이아닌사고방식을확대하는기계였다.🛰 그시선을이은사람,이태형박사수백년이지나한국에도하늘을향한사람이있었다.이태형박사는과학관장,천문연구자,강연자,저자까지모든역할을통해‘하늘을보는법’을알려준인물이다.그는말했다.“하늘을보는건결국자신을보는일이다.”그의말은갈릴레오가망원경을하늘로향하며했던질문과닮아있다.🪲 그런데…벌레도하늘을볼까?풀숲에숨어사는벌레들은우리와전혀다른시야..
🛰 별도 감기에 걸릴까? 요즘 감기 기운이 있었다. 콧물은 무중력처럼 흐르고, 머리는 블랙홀처럼 무거웠다. 누워있다가 문득 떠올랐다. 혹시 별도 감기에 걸릴까?🌬 적색거성의 ‘헛기침’별은 말 그대로 늙기도 한다. 적색거성은 생의 말기에 자신의 외피를 바람처럼 날린다. 천문학자들은 이걸 “질량 방출”이라고 부르지만, 나에겐 헛기침 같다. 이 바람은 먼지와 가스를 우주에 흩뿌리며, 결국 성운이라는 ‘기침 잔해’를 남긴다.태양도 언젠가는 그렇게 될 거다. 감기 걸린 노인이 기침하며 후세에 기록을 남기듯이.🌡 열이 나면? 코로나(Corona)태양의 가장 바깥층은 ‘코로나’다. 그런데 여기가 가장 뜨겁다. 이상하지 않나? 표면보다도 수백 배 뜨겁다.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마치 감기 열처럼 이유를 모른 채 버텨야 한다. 원인 추..
🛰️ 천문학과 DNS, 전혀 다른 두 세계의 연결고리? DNS는 인터넷 이야기고, 천문학은 밤하늘 이야기 아닌가요?저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어요.하지만 알고 보니, 별을 향한 데이터의 길목에도 DNS가 있더라고요.📡 관측소의 주소도 ‘도메인’으로 시작해요우리가 별 사진을 보기 위해 NASA나 한국천문연구원 사이트를 찾을 때,nasa.gov, kasi.re.kr 같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죠.바로 이 도메인이 DNS의 작품이에요.DNS는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주소를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이에요.마치 우주 관측 장비들끼리 서로를 부를 수 있게 만드는 디지털 천문 관제탑이죠.🌍 전 세계 망원경, 실시간으로 연결되다천문학은 이제 한 국가나 기관의 연구로 끝나지 않아요.칠레, 하와이, 남극, 한국의 망원경들이 DNS 기반 서버 주소..
🔭 CCTV와 천문학, 생각보다 가까운 사이? 천문학자는 별을 관측하고, CCTV는 사람을 관찰합니다.둘 다 “보는 사람”이죠. 그것도 아주 오래, 아주 꾸준히.이 둘은 완전히 다른 분야 같지만, 의외로 핵심 원리가 닮아 있습니다.바로 지속적인 관찰과 기록, 그리고 데이터 분석.예를 들어 CCTV는 건물 앞을 24시간 감시하면서 누가 드나드는지 기록합니다.천문학자는 밤하늘을 24시간 지켜보며 별의 밝기나 움직임을 추적하죠.다른 점은 관찰 대상이 다를 뿐, 구조는 놀랍도록 비슷합니다.🔧 기술적으로도 접점이 있어요 1. CCD 센서CCTV도, 천문학 망원경도 CCD(Charge-Coupled Device) 를 사용해요.빛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이 센서는, CCTV에서는 영상 저장에, 천문학에서는 별빛 감지에 쓰입니다. 2. AI 영상 분석요즘 CCTV는..
천문학자들은 별만 보는 걸까? — 천문학자의 현실적인 하루 🌌 천문학자들은 별만 보는 걸까?천문학자라고 하면, 밤마다 망원경을 들여다보며 별을 관측하는 모습을 떠올린다.하지만 현실은 다르다.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낮에 일하고, 망원경은 자동으로 돌아간다.요즘은 우주망원경이나 외부 관측소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식이 보통이다.그래서 천문학자의 하루는 밤하늘보다 모니터를 더 오래 들여다본다.Python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논문을 작성하는 일이 반복된다.회의, 이메일, 코드 디버깅, 자료 수집, 통계 검토…마치 연구소 사무직처럼 보일 수도 있다.하지만 그 안에 우주가 있다.한 줄의 그래프가 수천만 광년 너머에서 온 메시지이기도 하다.그들은 직접 별을 만지지 않지만,별을 둘러싼 중력, 온도, 속도, 밀도 같은 물리값을 통해 그 별의 ..
🐱 고양이와 피라미드, 그리고 밤하늘의 별? 여러분, 혹시 이런 상상을 해본 적 있나요?고양이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별자리를 따라 걷는 모습.이집트 사막 한가운데, 피라미드 위에서 턱을 괴고은하수를 바라보는 고양이 한 마리… 냐아~사실 이 상상이 그렇게 허무맹랑한 건 아니에요.왜냐하면 고대 이집트에서 고양이는 신성한 존재였고,그들의 건축물인 피라미드는 천문학적 구조물이기도 하니까요!🐾 고양이, 이집트, 별과의 깊은 인연이집트인들은 고양이를 풍요의 여신 **바스테트(Bastet)**의 화신으로 여겼어요.쥐를 잡는 능력뿐 아니라, 집을 지켜주는 수호신이었죠.그래서 고양이는 자연스럽게 밤과 달, 별, **‘보이지 않는 세계’**와도 연결되었답니다.그런데 말이에요!고양이들이 밤마다 달을 보고 중얼중얼하는 건,혹시 피라미드에서 별의 움직임을 계산하던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