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9월부터 사라지는 전면 광고, 블로그 수익은 어떻게?

WhoDonomics 2025. 9. 12. 08:09

1. 정책 변경의 시작


2025년 9월 3일부터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모바일 전면 광고가 전면 금지된다. 애드센스 자동 광고에서 제공되던 전면 광고 옵션뿐만 아니라, HTML 코드 삽입으로 구현하던 방식도 모두 차단된다. 전면 광고는 수익 기여도가 크지만 사용자 경험(UX)을 해친다는 이유로 퇴출 수순을 밟았다.



2. 실제 설정 과정


애드센스 사이트 광고 관리에 들어가면 내 도메인이 표시된다. 나의 경우 whodonomics.com이 보였고, 자동 광고는 ‘사용’ 상태였다.
우측의 **연필 아이콘(수정)**을 눌러 광고 설정으로 들어가면, 상단에는 자동 광고 토글이 있고, 그 아래에 광고 형식이 세분화되어 있다.
이 중 오버레이 형식을 클릭하면 세 가지 항목이 나온다:
• 앵커 광고
• 사이드 레일 광고
• 모바일 전면 광고

처음에는 세 항목이 모두 체크되어 있었지만, 정책에 맞추기 위해 모바일 전면 광고만 체크 해제했다. 이후 [사이트에 적용] 버튼을 눌렀고, 팝업에서 “지금 변경사항 적용하기” → 저장을 선택했다. 반영에는 최대 1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안내가 있었지만, 곧 자동광고는 그대로 켜진 상태에서 전면 광고만 비활성화되었다.



3. 수익 구조 점검


전면 광고가 사라지면 단기적으로는 수익이 줄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본문 내 광고, 인피드 광고, 사이드 레일 광고는 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글 중간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본문 내 광고는 거부감이 덜하고, 체류 시간을 늘려 장기적으로 더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4. 전략의 전환


결국 블로그 수익의 핵심은 광고 포맷이 아니라 SEO와 콘텐츠다.
• 최신 키워드 반영
• 롱테일 키워드 공략
• 클릭을 유도하는 제목 작성

이 과정을 꾸준히 하면, 전면 광고가 사라져도 전체 수익은 유지되거나 성장할 수 있다.



5. 천문학적 비유


전면 광고는 한때 하늘을 가리던 거대한 행성 같았다. 처음에는 수익을 끌어올리는 힘처럼 보였지만, 동시에 별빛 같은 콘텐츠를 가리고 있었다. 이제 행성이 궤도를 벗어나자 별빛은 오히려 선명하게 드러난다. 블로그 수익의 별빛은 여전히 다른 자리에서 빛난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전면광고 #블로그수익 #구글광고 #자동광고 #정책변경 #SEO #블로그운영 #수익형블로그





Clouds drift away, content keeps glowing





From September, Full-Screen Ads Disappear — What About Blog Revenue?



1. Policy Change


From September 3, 2025, Tistory blogs no longer allow mobile full-screen ads. Both AdSense auto ads and manual HTML scripts for this format are blocked. While revenue contribution was notable, the poor user experience led to the removal.



2. Actual Process


On the AdSense site management page, my domain whodonomics.com appeared with auto ads marked active.
By clicking the pencil icon, I entered ad settings. Under “Overlay formats,” I found three options:
• Anchor ads
• Side rail ads
• Mobile full-screen ads

All were checked at first. I unchecked only the mobile full-screen ad, clicked [Apply to site], and confirmed with “Apply changes now → Save.” Within an hour, auto ads stayed active but full-screen ads were disabled.



3. Revenue Impact


The loss of full-screen ads may reduce income temporarily. But in-content, in-feed, and side rail ads remain effective. In fact, they create less disruption and can increase session time, leading to more sustainable revenue.



4. Strategy Shift


The real driver of revenue is SEO and content. With trending keywords, long-tail strategies, and engaging titles, traffic growth can stabilize or even raise earnings despite the loss of full-screen ads.



5. Astronomical Metaphor


Full-screen ads were like a massive planet blocking starlight. They seemed powerful but overshadowed true content. Now that the planet has moved, the stars shine brighter, and revenue finds new ways to reach readers.




#Tistory #AdSense #FullScreenAds #BlogRevenue #SEO #GoogleAds #AutoAds #PolicyChange #BloggingTips #Monetization





Sound Bite Corner 🎧

1. optimize /ˈɑːptɪmaɪz/
• 뜻: 최적화하다
• 발음: “압-티마이즈” (첫 음절 op에 강세)
• 액센트: op 부분에서 살짝 힘을 주고,
                           뒤는 가볍게 흘린다.
• 리듬·억양:
• 압 → 짧고 강하게 (낙차 강조)
• 티마이즈 → 빠르게 이어서 부드럽게
• 전체 억양은 살짝 내려가는 톤
• 연습 문장:
              I need to optimize my ad settings.
→ “아이 니드 투 압티마이즈 마이 애드 세팅스”
→ 압에서 강세, 마이즈는 약하게 흘리듯



2. revenue /ˈrevənuː/
• 뜻: 수익, 매출
• 발음: “레버-뉴” (첫 음절 rev에 강세)
• 액센트: rev를 강조하고,
                         뒤의 -enue는 가볍게 처리한다.
• 리듬·억양:
• 레브 → 힘 있게, 톤을 살짝 올렸다가
• 어뉴 → 부드럽게 내려준다
• 억양은 중간에서 내려가는 곡선
• 연습 문장:
            Revenue depends on SEO and traffic.
→ “레브어뉴 디펜즈 온 에스이오 앤 트래픽”
→ 레브에 강세, 나머지는 빠르게 잇는다.

👉 두 단어 모두 첫 음절 강세(front stress) 단어라서, 시작에서 확실히 힘을 주고 뒤는 짧게 처리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