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릭이 없어도 배우는 중 — AdSense가 알려주는 ‘숫자의 언어’
7월 23일, 첫 글을 올렸다.
그땐 수익이 0달러였다.
그리고 오늘, 10월 12일.
내 블로그의 총 수익은 $0.08, 오늘 하루는 $0.02.
수익은 작지만, 그 안에 중요한 정보가 들어 있다.
“구글은 이미 내 글을 학습 중이다.”
📊 1️⃣ 노출수(Impressions)
— 광고가 눈에 띈 횟수
오늘의 노출수는 7회.
즉, 내 글이 7번 광고와 함께 화면에 떴다는 뜻이다.
노출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콘텐츠가 도달한 우주의 크기다.
만약 하루 7회가 꾸준히 70회, 700회로 늘어난다면
그건 글의 검색 도달률(SEO)이 상승하고 있다는 신호다.
Tip:
• 노출수가 꾸준히 오르면 ‘검색 노출 최적화’가
진행 중.
• 갑자기 떨어진다면 카테고리나 제목의 방향을
점검할 필요 있음.
💰 2️⃣ RPM —>
광고가 내 글을 평가하는 단가
오늘의 페이지 RPM은 $10.78.
RPM은 “내 콘텐츠 1,000회 노출당 예상 수익”이다.
즉, 내 글이 1,000번 노출되면 약 10달러를 벌 수 있다는 계산이다.
RPM은 단가이기 때문에 주제와 광고 매칭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 “생활” 글은 보통 $0.5~$2
• “금융, IT, 기술” 글은 $5~$15
까지 간다.
즉, 오늘 내 블로그에 고가 광고가 붙은 것이다.
비록 클릭이 없어도, 구글이 내 글을 ‘수익성 높은 카테고리’로 본다는 뜻이다.
🖱️ 3️⃣ CTR — 클릭률의 의미
오늘 CTR은 0.0.
하지만 실망할 필요 없다.
CTR은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한 비율로, 보통 1%만 돼도 충분하다.
초기에는 클릭보다 노출이 중요하다.
CTR은 유입이 늘면 자연스럽게 생긴다.
지금 단계에서는 “클릭”보다 “읽히는 주제”가 우선이다.
Tip:
• CTR은 하루 단위보다
30일 평균으로 봐야 의미가 있다.
• 0.1%라도 꾸준히 유지되면,
광고 위치와 내용이 맞게 작동 중.
🌠 4️⃣ 이 데이터가 주는 메시지
• 노출이 있다는 건 구글이 내 글을 검색결과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뜻.
• RPM이 높다는 건 내 주제가 ‘돈이 되는’
광고군과 매칭되기 시작했다는 뜻.
• 클릭이 없어도 0.02달러가 생겼다는 건
노출 단가 자체가 작동 중이란 뜻.
즉, 오늘은 알고리즘이 날 다시 본 날이다.
이걸 꾸준히 기록하면, 다음 달엔 “클릭 1 = $0.05~0.2”의 구조로 발전한다.
🛰️ 아직 카테고리 전
— 하지만 방향은 정렬 중
아직 내 블로그는 카테고리 정리 전이다.
그래서 현재의 목적은 “글의 성격을 구글에게 학습시키는 것.”
주제를 좁히지 않아도 된다.
대신 제목에 **핵심 키워드(명사형)**를 넣어두면 된다.
예: “AdSense 수익 해석법”, “RPM 높이는 글 구조”
이렇게 구조를 잡으면 구글은 “무엇을 중심으로 쓰는 블로그인지” 학습한다.
지금은 별들이 흩어져 있지만, 그 점들이 곧 하나의 별자리로 정렬될 시기다.
#구글애드센스 #RPM해석 #CTR의의미 #블로그수익공유 #티스토리팁 #수익형블로그 #SEO기초 #글쓰기패턴 #콘텐츠전략 #WhoDonomics

Learning Even Without Clicks — How AdSense Quietly Learns
I uploaded my first post on July 23.
There was no revenue, no views, and no clicks that day.
Now it’s October 12.
Three months have passed, and quiet numbers began to appear on the screen.
This month’s revenue is $0.08, and today’s is $0.02.
Even without a single click, revenue was created.
At first, I thought it was strange, but now I understand —
It’s proof that Google is reading my blog, not people.
📈 Why earnings accumulate even without clicks
Today’s report (October 11) shows this:
7 impressions, 0 clicks, and a page RPM of $10.78.
The reason earnings appear without clicks is that
ad impressions themselves have value.
RPM means revenue per 1,000 impressions.
It could simply mean that high-priced ads happened to appear today.
But the more important part is that
Google has star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my writing.
🛰️ Still before category setup — learning the structure
My blog is still before the category organization stage.
Instead of sorting posts into folders,
I’m leaving each post as it naturally unfolds.
In July, I learned how to post.
In August, I built my structure and bilingual format.
In September, I began to find my rhythm.
And now, in October, Google is starting to recognize my content.
This isn’t a finished system; it’s a learning structure.
By the time I organize categories,
I’ll know which topics rank higher in search results
and which writing styles make readers stay longer.
🌠 The meaning of $0.02
Two cents is small,
but it means the algorithm has started to notice my blog again.
It’s learning that “this user writes with a pattern and purpose.”
Once that pattern is established, the ads become more accurate.
So today’s $0.02 isn’t stagnation —
it’s a signal.
It’s a part of the process of building long-term trust
between my writing and Google’s system.
☄️ The stage of observing structure
October isn’t the month of profit — it’s the month of data interpretation.
RPM changes every day depending on topic, region, and timing.
Some days have no clicks but high RPM,
while other days have clicks but low RPM.
That’s why I focus not on money, but on patterns.
Which sentences attract ads,
which topics hold readers longer —
that’s what I’m learning right now through this blog.
Learning Google’s Language — What 0.02 Dollars Really Mean
Today’s AdSense report:
7 impressions, 0 clicks, RPM $10.78, and $0.02 earned.
Each number tells a story:
• Impressions mean visibility — my post appeared on someone’s screen.
• RPM means Google found my topic valuable.
• CTR being zero simply means: the audience is still learning to stay longer.
A high RPM without clicks means Google started matching my content with higher-paying ads — often tech or finance-related.
Even at the pre-category stage, these patterns matter.
Once I define clearer topics, the algorithm will link my content to better advertisers automatically.
$0.02 is not small. It’s a signal —
proof that Google is watching, reading, and categorizing my blog.
#GoogleAdSense
#RPMInsight
#CTRMeaning
#BlogAnalytics
#MonetizationTips
#SEOJourney
#TistoryBlog
#CreatorGrowth
#DigitalPattern
#WhoDonomics
🎧 Sound Bite Corner
✨ 오늘 글의 핵심 단어, 소리로 익혀볼까요?
1️⃣ algorithm /ˈæl.ɡə.rɪ.ðəm/
• 음소분석:
/ˈæ/ (입을 크게 벌리고 짧게 내는 소리)
+ /lɡ/ (혀끝이 잇몸 뒤 닿음)
+ /ə.rɪ.ðəm/ (리듬감 있게 ‘어리듬’)
• 발음: “앨거리듬”
• 연음:
문장 내에서 다음 모음과 자연스럽게 이어짐
— the algorithm_is learning → “앨거리듬이즈”
• 강세: 첫 음절 **al-**에 강세
• 뜻: 알고리즘, 규칙 집합
• 훈련문장:
The algorithm_is constantly adjusting itself.
(연음: algorithm_is → “앨거리듬이즈”)
2️⃣ consistency /kənˈsɪs.tən.si/
• 음소분석:
/kən/ 약하게, /ˈsɪs/ 강하게, /tən/ 짧게 닫고
/si/로 마무리
• 발음: “컨시스턴시”
• 연음:
Keep_it consistent. → “키핏컨시스턴트”
• 강세: 두 번째 음절 sis
• 뜻: 일관성, 꾸준함
• 훈련문장:
Keep_it consistent_even under pressure.
(연음: Keep_it, consistent_even)
3️⃣ visibility /ˌvɪ.zəˈbɪ.lə.ti/
• 음소분석:
/ˌvɪ/ 약하게 시작, /zəˈbɪ/ 중간에 강세, /lə.ti/ 부드럽게 끝
• 발음: “비저빌리티”
• 연음:
Increase_your visibility_online. → “인크리시어 비저빌리티언라인”
• 강세: 세 번째 음절 bil
• 뜻: 노출도, 가시성
• 훈련문장:
Increase_your visibility_online to attract readers.
(연음: Increase_your, visibility_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