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성 — 멈추기보다 움직이기가 더 쉬운 순간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고,
멈춰 있는 물체는 계속 멈춰 있으려 한다.
이 단순한 물리 법칙이 바로 ‘관성’이다.
관성은 교과서 속 개념처럼 보이지만, 사실 우리 하루에도 숨어 있다.
아침에 일어나 침대에서 나오기 싫은 이유,
헬스장 등록만 하고 안 가는 이유,
심지어 블로그 첫 글을 쓰는 데 한 달이 걸리는 이유까지 —
전부 관성 때문이다.
1. 시작이 어려운 이유
물체가 움직이려면 ‘정지 관성’을 이겨내야 한다.
이건 마치 무거운 쇼핑카트를 밀 때,
처음 한 발짝은 힘이 많이 들지만,
한 번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 다음은 훨씬 쉬운 것과 같다.
블로그든, 운동이든, 공부든 처음 발을 떼는 순간이 가장 힘들다.
그래서 물리학자는 ‘첫 힘(초기 가속도)’을 중요하게 본다.
2. 멈추기 힘든 이유
반대로, 이미 달리고 있는 기차를 갑자기 세우려면 어마어마한 힘이 필요하다.
좋은 습관도 그렇다.
매일 아침 10분씩 영어 공부를 하던 사람은
그 루틴이 몸에 배어, 웬만한 방해에도 멈추지 않는다.
관성이 ‘운동 관성’으로 바뀌면,
멈추는 게 오히려 힘들어진다.
이건 성공 습관을 만들 때 최고의 무기다.
3. 관성을 내 편으로 만드는 법
문제는 대부분이 ‘정지 관성’ 구간에서 포기한다는 것이다.
이 구간을 통과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작게 시작하기 — 5분만 걷기, 한 줄만 쓰기, 한 단어만 외우기.
2. 외부 힘 빌리기 — 친구와 약속, 비용 선결제, 공개 선언.
물리학에서 외부 힘이 작용해야만 속도가 변하듯,
우리도 외부 자극이 필요하다.
4. 생활 속 관성 실험
• 출근길에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쓰기 시작하면,
3일째부터 자동으로 발이 계단 쪽으로 간다.
• 블로그에 하루 3줄이라도 쓰면,
일주일 뒤엔 10줄, 30줄로 늘어난다.
이게 바로 ‘움직이기가 멈추기보다 쉬운 순간’이다.
관성은 적이 될 수도 있지만,
한 번 편이 되면 인생을 가속화하는 최고의 동력이다.
음소분석 코너
1. inertia
• 뜻: 관성, 무기력
• 강세: inertia → /ɪˈnɜːrʃə/ → 2음절 ner에 강세
• 음소분석:
• /ɪ/ = ‘이’와 ‘으’ 사이, 입 살짝 벌리고 짧게
• /ˈnɜːr/ = 너어르 (r 발음 살리기)
• /ʃ/ = ‘쉬’ 소리 (혀 앞부분을 윗잇몸 뒤쪽에 가깝게)
• /ə/ = 약하게 ‘어’ 소리 (schwa)
• 발음 가이드: [이너어르셔] 처럼 읽되, ner에서 r을 굴려 힘 줌
훈련문장
• “Overcoming inertia is the hardest part of any change.”
/ˌoʊvərˈkʌmɪŋ ɪˈnɜːrʃə ɪz ðə ˈhɑːrdəst pɑːrt əv ˈeni tʃeɪndʒ/
→ ner에서 강하게, change에서 부드럽게 연결
2. acceleration
• 뜻: 가속, 가속도
• 강세: acceleration → /ækˌseləˈreɪʃən/ → 4음절 ra에 강세
• 음소분석:
• /æk/ = ‘액’ (짧게)
• /ˌsel/ = ‘셀’ (약강세)
• /ə/ = 약한 ‘어’
• /ˈreɪ/ = ‘레이’ (강세, 길게)
• /ʃən/ = ‘션’ (혀 앞쪽 살짝 말아 sh 소리)
• 발음 가이드: [액셀러레이션], 레이 부분을 길고 강하게
훈련문장
• “The car’s sudden acceleration startled the passengers.”
/ðə kɑːrz ˈsʌdən ækˌseləˈreɪʃən ˈstɑːrtəld ðə ˈpæsɪndʒərz/
→ 레이를 길게, startled에서 t 발음 부드럽게 연결

🌀 Inertia — Easier to Keep Moving Than to Stop
An object in motion stays in motion,
and an object at rest stays at rest.
This simple physics law is called inertia.
Inertia may look like a textbook concept,
but it hides in our daily lives.
The reason you don’t want to get out of bed in the morning,
why your gym membership card collects dust,
or why it takes a month to write your first blog post —
it’s all inertia.
1. Why Starting Is So Hard
To move, an object must overcome “static inertia.”
It’s like pushing a heavy shopping cart:
the first push takes the most effort,
but once it moves, the rest is much easier.
Whether it’s blogging, exercising, or studying,
the first step is the hardest.
That’s why physicists pay attention to initial acceleration.
2. Why Stopping Is Even Harder
On the other hand, stopping a running train takes tremendous force.
Good habits are the same.
If you study English for 10 minutes every morning,
it becomes part of your routine,
and it resists stopping.
Once inertia turns into “dynamic inertia,”
quitting becomes harder than continuing —
and that’s a secret weapon for building success habits.
3. How to Make Inertia Work for You
The problem is that most people quit in the “static inertia” phase.
To pass it, there are two tricks:
1. Start small — walk for just 5 minutes, write one sentence, learn one word.
2. Borrow external force — promise a friend, pre-pay for something, declare publicly.
In physics, an external force is required to change speed.
We’re no different.
4. A Small Inertia Experiment
• Take the stairs instead of the elevator for three days,
and your feet will automatically choose stairs.
• Write three lines a day on your blog,
and in a week you’ll write ten, then thirty.
That’s the moment when moving becomes easier than stopping.
Inertia can be your enemy,
but once it’s on your side,
it’s the ultimate engine to accelerate life.
#관성 #물리학 #운동법칙 #습관만들기 #성공습관 #첫걸음 #루틴 #블로그습관 #가속도 #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