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퍼블리셔 흐름을 바꾸는 공식 — 구글이 공개한 새로운 콘텐츠 전략
아시아 콘텐츠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특히 인도·인도네시아·베트남·일본·한국 등 5개국에서 퍼블리셔가 어떤 방식으로 성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흔치 않다. 구글 애드센스가 내놓은 **‘Inside Asia’s New Content Formula’**는 바로 이 변화를 정리한 보고서다. AI 활용부터 로열티 프로그램, 모바일 중심 전략까지 실제 현장에서 작동하는 방식들이 담겨 있어 출발점으로 적합하다.
인도: 로열티 프로그램이 트래픽을 습관으로 바꾼다
인도 퍼블리셔들은 ‘게임화’된 리워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반복 방문을 끌어내고 있다. 단순히 포인트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특정 행동을 수행하면 즉시 보상이 돌아가는 구조를 도입해 경험 자체를 즐기게 만드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체류 시간·페이지 뷰·직접 유입을 동시에 끌어올려 광고 수익에도 직접 연결된다. 국내에서도 커뮤니티 기반 블로그나 멤버십을 운영하는 사람에게 참고가 될 만한 흐름이다.
베트남·인도네시아: 모바일 퍼스트·영상 퍼스트의 압도적 성장
두 지역은 공통적으로 모바일 우선 전략이 강하다. 사용자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기 때문에 이미지·짧은 영상·실시간 커뮤니티 대화가 트래픽의 핵심이다.
특히 영상 기반 콘텐츠는 공유가 빠르고, 유입이 순식간에 터지기 때문에 바이럴이 전제된 구조를 만든다. 영상 편집 난이도가 낮아지고 숏폼 플랫폼이 확장되면서 퍼블리셔의 진입 장벽도 크게 낮아졌다.
일본·한국: 품질 기반 퍼블리셔의 안정적 성장
일본과 한국은 콘텐츠 품질 중심의 검색 트래픽이 여전히 강하다. 기사형 포맷·리뷰·가이드·데이터 기반 콘텐츠가 안정적 성장 흐름을 만들고, 검색 기반 매체가 광고 수익의 큰 축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제 두 시장도 AI 보조도구 도입으로 업무 흐름이 크게 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목 테스트, 원고 정리, 빠른 카테고리 라벨링, 콘텐츠 개인화 등은 이미 AI가 전담하는 영역이다.
아시아 전체: AI가 흐름을 바꾸지만 ‘톤’은 지킨다
AI는 이제 ‘기사 작성 도구’라기보다 워크플로우 자동화 시스템에 가깝다.
보고서에서 모든 국가가 공통으로 말하는 지점은 다음과 같다.
• AI는 속도를 높인다
• AI는 테스트와 최적화를 돕는다
• 그러나 에디토리얼 톤은 인간이 지킨다
즉, ‘AI가 콘텐츠를 만든다’가 아니라, AI가 편집자의 시간을 되돌려주고, 인간이 톤과 방향을 조절하는 구조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왜 이 웨비나가 중요한가?
라이브 웨비나 참가자에게만 정식 공개 전 전체 보고서 다운로드 권한이 제공된다. 퍼블리셔 입장에서 시장 변화를 먼저 확인하는 것은 곧 트래픽·수익 구조 확장의 첫 단계다. 이미 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의 빠른 전환을 보면, 콘텐츠 제작 방식은 분명히 전환점에 들어섰다.
정리
아시아 퍼블리셔 시장을 움직이는 공식은 단순하다.
이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AI로 흐름을 관리하고, 시장별 강점을 전략화하는 것.
구글의 이번 보고서는 바로 그 공식 전체를 가장 빠르게 보여주는 자료다.
#아시아퍼블리셔 #구글애드센스 #콘텐츠전략 #AI콘텐츠 #모바일퍼스트 #영상트렌드 #인도퍼블리싱 #베트남인도네시아 #검색트래픽 #퍼블리셔인사이트

Asia’s New Content Formula — What Google’s Latest Report Reveals
The digital publishing landscape in Asia is shifting fast. With markets like India, Indonesia, Vietnam, Japan, and South Korea moving in different directions, clear data has been rare. Google AdSense’s new report, “Inside Asia’s New Content Formula: Where AI Meets Culture and Community,” finally outlines what is actually working across these regions. From AI-powered workflows to loyalty systems and mobile-first strategies, the report highlights how publishers are scaling efficiently in 2025.
India: Turning Casual Visitors Into Habitual Users
India’s biggest differentiator is the rise of gamified loyalty programs. Instead of simple point systems, publishers are implementing tasks, challenges, and instant rewards that create a game-like experience.
This approach increases session time, repeat visits, and organic traffic—all of which directly push up ad revenue. For anyone running a membership community or niche blog, India’s model offers a preview of what “retention-first publishing” looks like.
Vietnam & Indonesia: Winning With Mobile-First, Video-Led Formats
Both markets share a dominant mobile culture. Users consume nearly everything on smartphones, making short-form video, lightweight visuals, and real-time interaction the core drivers of engagement.
Because video spreads quickly and is easy to create, publishers in these regions benefit from accelerated virality. As editing tools become simpler and platforms expand, video-led publishing has become a low-barrier, high-impact strategy.
Japan & South Korea: Quality-Driven Search Traffic Still Works
Japan and South Korea remain strong in search-based, quality-driven content. Articles, detailed guides, reviews, and structured information still dominate long-tail traffic.
However, both markets are undergoing a shift: AI is now widely used for headline testing, summaries, categorization, and personalization. Rather than replacing editors, AI is functioning as a workflow accelerator.
Across Asia: AI Speeds Up Work, But Doesn’t Replace Editorial Tone
The common insight across all five markets is clear:
• AI increases speed
• AI improves testing and optimization
• But editors remain responsible for tone and direction
In other words, Asia is rapidly adopting a structure where AI handles the repetitive layers, while humans maintain the voice, nuance, and cultural context.
Why This Webinar Matters
Only live webinar attendees will receive early access to the full report before the public release.
For publishers, learning these shifts early means being able to redesign workflows, adapt formats, and move ahead of competitors before the new trends hit mainstream adoption.
Final Note
Asia’s new content formula blends user behavior, mobile ecosystems, and AI-supported creativity. Google’s upcoming report offers one of the clearest looks at where the next wave of publishing growth will come from.
#AsiaPublishers
#GoogleAdsense
#ContentFormula
#AIPublishing
#MobileFirst
#VideoLedGrowth
#IndiaContentTrend
#IndonesiaVietnamMedia
#SearchTraffic
#PublisherInsights
🎧 Sound Bite Corner
✨ 오늘 글의 핵심 단어, 소리로 익혀볼까요?
1) publisher
• 뜻: 퍼블리셔, 콘텐츠 발행자
• 강세: públisher (첫 음절 강조)
• IPA: /ˈpʌblɪʃər/
• 음소 분석:
• /p/ 파열음
• /ʌ/ 단모음 ‘어’
• /b/ 유성 파열
• /l/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소리
• /ɪ/ 짧은 ‘이’
• /ʃ/ ‘sh’ 소리
• /ər/ 약화된 ‘얼/어’
• 훈련 문장: I’m becoming a global publisher.
(아임 비커밍 어 글로벌 퍼블리셔)
2) mobile-first
• 뜻: 모바일 우선 전략
• 강세: mó-bile first
• IPA: /ˈmoʊ.baɪl fɝːst/
• 음소 분석:
• /moʊ/ 입술 둥글게, 길게 미는 모음
• /baɪl/ ‘바일’이 아니라 ‘바일’과 ‘바일’ 중간 느낌
• /fɝːst/ 혀를 말아 올리는 /ɝː/
• 훈련 문장: Asia is fully mobile-first now.
(에이저 이즈 풀리 모바일 퍼스트 나우)